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Atomi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 논란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에 따르면 1987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핵연료 연구개발, 국산핵연료성능검증, 손상핵연료 원인분석 등을 위해 21회 운반해왔으며, 사용후연료봉은 총 1699봉(3.3t)으로 이중 손상된 핵연료봉이 309봉인 것으로 나타났다.[1]

원자력연구원의 사용후핵연료는 조사후연료시험시설(PIEF)에 보관되어있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에서 연소된 뒤 꺼낸 핵 폐기물로 고리, 한빛, 한울 등 원자력발전소에서 1987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총 21회에 걸쳐 대전으로 이송됐다.

안상복 원자력연구원 재료조사시험평가부장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국내에 중간저장시설이 없다"면서 "정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계획에 따르면 2035년에 중간저장 시설을 건설하게 돼 있어, 시설이 건설되면 사용후 핵연료를 거기로 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자력연구원 입장

원자력연은 사용후핵연료의 이송, 보관 및 연구개발 등과 관련해 법과 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수행해 왔다는 내용을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외부에 공개해 왔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사용후핵연료 이송에 대해선 손상원인을 규명하고 향상된 신소재를 개발해 성능과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한 연구 목적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이송 6주 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를 통해 IAEA(국제원자력기구)에 핵연료 이송 계획을 사전 보고하고 있다"며 "사용후핵연료를 운반용기 KSC-1로 안전하게 이송했고, 조사후연료시험시설(PIEF)에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송과정은 안전과 보안을 위해 기밀이지만 사용후핵연료 저장현황 등 정보의 경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및 정부 3.0 공공데이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면서 "대전원자력안전협의회와 지역주민협의회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대 입장

유성핵안전시민대책본부 박현주 집행위원은 "지난 26년 동안 사용후핵연료가 대전으로 옮겨졌지만 이 사실을 전혀 몰랐다. 1-2달 전 최명길 국회의원실 발표 자료를 통해 처음 알게 됐다"며 "사용후핵연료가 연구용으로 이송된 것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다.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후핵연료 반입에 대한 지역민과의 소통이 전혀 없었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유성핵안전시민대책본부는 원자력연이 내년부터 시행될 파이로프로세싱 실험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민간안전감시기구 설립·운영 등을 유성구청과 구의회에 요청할 계획이다.


뉴스 보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