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이비등영역

Atomi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자로의 연료봉과 같은 전열체 표면에서의 액체에 의한 열전달을 생각하면, 액체가 포화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액체 중에 기포형태로 증기상이 형성된다. 이것이 비등이다. 초기의 비등에 의한 열전달은 핵비등이라고 부르며 전열면의 개 개의 점에서 독립적으로 증기포가 발생하여 전열면의 온도상승에 따라 열부하도 상승하므로 열전달특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더욱 열부하를 높여가면 열부하의 극대치에 달한다. 극대치 이상으로 열부하를 높이면 전열능력은 오히려 감소하여 가해진 열은 전열체의 온도상승에 사용되며 그 후 막비등이라는 비등상태로 옮겨진다. 이 핵비등의 극대점부터 막비등상태로 옮겨가기까지의 비등영역을 천이비등영역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