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위험과 관리

Atomi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라돈과 그 붕괴생성물들은 천연 방사성물질로 가장 중요한 방사선피폭원이다.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UNSCEAR, 2010)에 의하면, 호흡을 통하여 라돈가스와 그 붕괴생성물로부터 받는 평균 피폭선량은 자연방사선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지역에 따라 다르나 그 범위는 연간 0.2 mSv ~ 10 mSv에 달한다.

라돈(Rn-222)은 불활성기체이고 라듐(Ra-226)이 붕괴하여 생성된다. 반감기가 3.8일 이며, 호흡으로 몸 안에 들어오면 단밤감기 핵종인 폴로늄(Po-218, Po-214)이 방출하는 알파선에 의해 폐 생체조직의 DNA가 손상될 수 있다.

1980년 이래 라돈 장기피폭이 폐암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현재 라돈에 기인한 폐암비율은 3% ~ 14%에 이른다.(WHO, 2009)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는 전 세계에서 발표된 자료를 토대로 2009년에 이전의 라돈위험이 약 2배 과소평가되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모든 연령층에 대하여 라돈가스에 대한 위험계수를 상향 조정하였다. 동시에, ICRP는 라돈위험관리를 선언했으며,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방호수단을 도입하는 것이 정당하며 필요하다고 하는) 조치준위를 사용하여 관리할 것을 권고하였다.

그러나 ICRP103(2007)에서 조치준위 이상의 것만이 아닌 모든 수준에서 참조준위(연간 유효선량 10 mSv, 라돈농도: 300 Bq/m3) 이하로 합리적 수준에서 달성 가능한 한 낮추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EPA 생활 라돈 가이드

미국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매년 21,000명의 미국인이 라돈 유발 폐암으로 사망한다고 하며, 흡연에 이어 폐암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권고요약

1. 라돈농도 측정
2. 집안 공기 중 라돈농도가 148 Bq/m3 이거나 그 이상이면 건물 수리
3. 148 Bq/m3 미만이라도 위험할 수 있으며, 더 낮출 수 있음


일반사항

1. 라돈은 암을 유발하는 방사성 기체
- 무색무취의 기체로 많은 매년 사람이 사망하는 원인으로, 라돈이 포함된 공기를 마시면 폐암에 걸릴 수 있다. 흡연자일 경우 그 위험은 매우 커진다.

2. 어디에나 있는 라돈
- 토양, 암석, 물 등 어디에나 있는 우라늄이 붕괴하여 생성 된 천연 방사성물질로 우리 주위 어디에나 있다. 집, 사무실, 학교 등 건물과 거주 공간의 형태, 체류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아마도 가정에서 있는 시간이 가장 많기 때문에 집에서 많이 피폭한다.

3. 생활공간의 라돈농도를 측정해야
- 측정을 해야 어느 정도 위험한지 알 수 있다. 측정은 복잡하거나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4. 라돈문제는 해결가능
- 라돈 감축시스템은 효과가 있으며(99% 까지 감축할 수 있음), 지나치게 비싸지 않다.

5. 신축 건물은 처음부터 라돈 감축시스템 도입
- 건물 신축 시 집안에 라돈유입을 막을 수 있는 자재, 건축공법을 적용하면, 사후에 감축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다.


라돈 유입 경로

1. 바닥 구조물의 갈라진 틈

2. 건축구조물 연결부

3. 벽면의 갈라진 틈

4. 지면 상부 마루 사이의 간격

5. 배관주위 틈

6. 벽 사이 공간

7. 상수도


라돈농도 측정방법

(미국의 경우) 우편서비스를 이용하여 측정기관에 의뢰하여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키트를 상점에서 구매하여 직접 할 수도 있음

국내 : 환경부 환경공단 홈페이지에서 측정신청 가능, 측정서비스를 하는 회사도 있음


1. 단기 측정법

- 2일에서 90일간 측정기를 집안에 설치 ; 활성탄용기, 알파트랙, 전기이온챔버, 연속감시기, 활성탄액체섬광검출기
- 실내 라돈농도는 일별, 계절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연중 농도를 측정하기 어려우나, 차선으로 신속하게 측정하야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2. 장기 측정법

- 90일 이상 측정기를 설치 ; 알파트랙 등
- 일별, 계절별 변화를 포함하는 연중 농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측정시험 키트 사용법

- 단기 측정일 경우, 측정하는 동안 가능한 오래도록 창문과 외부 문을 닫아 내부 폐쇄
- 난방과 냉방은 가능하나, 외기가 유입되면 안 됨
- 라돈 감축시스템의 팬이나 소형 팬은 측정하는 동안 짧은 시간은 가동 가능
- 2~3일 하는 단기 측정의 경우, 적어도 시험하기 전 12시간 창문과 외부 문을 닫아 둘 것
- 2~3일 하는 단기 측정의 경우, 태풍이나 강풍 등 비정상적인 기후변화가 있는 경우 측정하지 말 것
- 집안 내 동선이 잦은 곳을 피할 것
- 부엌이나 욕실이 아닌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공간(거실, 놀이방, 서재, 침실 등)에 설치
- 바닥 위 50 cm 높이에 설치: 고온, 다습, 외벽 등에 의한 영향 최소화
- 측정기 설치 기간 준수


측정결과의 의미

- 측정결과가 148 Bq/m3 미만이라 할지라도, 안심하지 말고 더 낮출 수 있다면, 그 만큼 폐암 발생위험을 낮추는 것임
- 단기 측정시험의 결과가 148 Bq/m3 수준이라면, 연중 농도가 그 이하일 거라는 확률은 1/2 정도이다. 높을 수 있고 낮을 수도 있다는 의미임
- 만약 실내 활동, 거주 형태가 바뀌었다면 다시 측정

*주택임대 혹은 매매 시 실내 라돈농도 측정 결과를 거래자 간에 공유하여 농도감축시스템의 설치 유무, 효과 등을 확인


수중(상수도) 라돈
- 토양 중 라돈의 실내 유입으로 인한 내부 피폭위험이 더 크긴 하지만, 라돈이 함유된 물을 통해서도 호흡과 섭취를 통한 위험이 있을 수 있다.
- 가정에서 사용하는 표면수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하수를 이용할 경우 확인하는 것이 좋다.


라돈농도 감축 방법
- 배기용 관(vent pipe)과 팬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토양 기초부지 균열부분을 막고 배기용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경제적임
- 집안의 공간에도 유사한 방법을 사용
- 건물 건축 시 수동적(영구적) 라돈 감축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
- 기술지식과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함; 정부기관, 공공기관, 연구소, 전문회사 등


라돈위험
- 라돈 가스가 붕괴하여 생성된 방사성입자들이 호흡을 통하여 폐에 들어 와 침적될 수 있다. 이들이 다시 알파 붕괴하면서 방출된 에너지가 폐 조직에 흡수되면 세포 DNA가 손상을 입어 폐암에 이를 수 있다.
- 높은 농도의 라돈에 피폭한 사람이 모두 폐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피폭과 발병의 사이에는 많은 시간(~수 년)이 걸릴 수 있다.
- 다른 환영오염원들과 마찬가지로 라돈에 의한 건강위험의 크기에도 어느 정도 불확실성이 있지만, 다른 암 유발 요인보다 라돈에 관하여는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 라돈에 더하여 흡연자라면 그 위험은 특히 심각하다. 금연하고 라돈농도를 감축하는 것이 폐암위험을 낮추는 것이다.
- 어린이는 성인에 비하여 훨씬 더 방사선에 취약하기때문에 라돈도 역시 더 위험할 것이라고 예상은 되나, 현재 결론에 이를만한 자료가 없다.

흡연자의 라돈 위험(EPA, A Citizen's Guide to Radon)
라돈농도
(Bq/m3)
라돈에 생애 피폭한 흡연자 1,000명 중 폐암 발생(인) 다른 위험과 비교할 경우
740 260 익사위험의 250배
370 150 가정화재 사망위험의 200배
296 120 낙상사망위험의 30배
148 62 자동차사고 사망위험의 5배
74 32 독극물 사망위험의 6배
48 20 미국, 평균 실내 라돈농도
15 - 미국, 평균 실외 라돈농도


비흡연자의 라돈 위험(EPA, A Citizen's Guide to Radon)
라돈농도
(Bq/m3)
라돈에 생애 피폭한 비흡연자 1,000명 중 폐암 발생(인) 다른 위험과 비교할 경우
740 36 익사위험의 35배
370 18 가정화재 사망위험의 20배
296 15 낙상사망위험의 4배
148 7 자동차사고 사망위험
74 4 독극물 사망위험
48 2 미국, 평균 실내 라돈농도
15 - 미국, 평균 실외 라돈농도


참고

Ludovic Vaillant and C´eline Bataille, Management of radon: a review of ICRP recommendations, J. Radiol. Prot. 32, R1-R12(2012)

UNSCEAR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s) UNSCEAR 2008 Report.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vol I,New York: United Nations(201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WHO Handbook on Indoor Radon: A Public Health Perspective, WHO, Geneva: WHO Press(2009)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ICRP Publication 103; Ann. ICRP 37(2007)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adon Website; A citizen's Guide to Radon, EPA402/K-12/002(2016)


이 자료의 최초 작성 및 등록 : 김봉환(KAERI) bhkim2@kae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