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선량피폭

Atomi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방사선은 엄격히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피폭하는(유효선량으로 수 Sv 혹은 약 5 Sv) 경우는 없다.

하지만 그보다 낮은 수백 mSv정도의 선량을 피폭하더라도 여전히 ​​세포 내 유전자정보(DNA)가 파괴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짧은 시간에 고선량을 피폭하면 세포가 죽을 수 있다. 실제로 고선량으로 인해 많은 세포가 죽게 되면 신체 조직과 장기가 즉시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신에 반응이 급성으로 일어나면, 이를 급성 방사선증후군(Acute Radiation Syndrome, AR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량이 클수록 그로 인한 효과는 더 빨리 나타나며, 사망할 확률이 높다. 방사선 피폭 이후 암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을 "잠복기"라고 한다. 대체적으로 수 년 혹은 약 10년 이상의 잠복기가 있다. 급성 방사선증후군은 1945년의 원폭생존자들과 체르노빌 원전사고 시 긴급 작업에 투입된 작업자들 등에서 관찰되었다. 체르노빌 원전에서 화재진압을 위해 약 134명의 발전소 작업자와 소방관이 700 ~ 13,400 mSv의 고선량에 피폭하여 급성 방사선 질환(ARS)을 앓았으며, 이로 인해 이 중 28명은 사망했다.

방사선은 다양한 형태로 여러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한 번에 약 5 Sv(5,000 mSv)의 선량에 피폭하게 되면, 처치와 치료가 없어도 사망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한 번에 1 Sv(1,000 mSv)의 선량을 피폭하면(회복이 가능하지만) 구토나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홍반)이 생길 수 있다. 약 0.25 Sv(250 mSv)의 선량을 피폭하면 남성에게 일시적으로 불임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렇지만 고선량에 한 번에 피폭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에 걸쳐 분할되어 피폭하였다고 하면 그 영향은 덜 심각한 경향이 있다. 암 치료 시 환자에게 치료선량을 분할하여 조사하는 것은 치료효과와 더불어 방사선치료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부 주위의 세포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기도 하다.


이 자료의 최초 작성 및 등록 : 김봉환(KAERI) bhkim2@kae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