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공감 클라쓰 시리즈 (동영상 강의 자료 모아보기)
"12강 신한울 3,4호기 꼭 지어야 하는 이유" | "13강 북극곰에게 원자력이 필요한 이유"
원자력 이슈 카드뉴스 (카드뉴스 모아 보기)
카드 뉴스 53편 "빌 게이츠는 왜 원자력을 지지하는가?"
방사선 의학영상검사
급증하는 의료영상검사
경제규모에 맞추어 삶의 질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의식변화가 나타난 것 중의 하나가 진단목적의 CT 검사에 대한 인식이다.
이미 2016년 한 해 859만 건의 일반 전산화단층 영상진단(CT 촬영)이 있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생활속 질병통계 100선, 210쪽, 2018년 3월)
질병관리본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병원에 설치, 운영중인 CT 장비 역시 2016년 9,454대로 2014년 이후 매년 18% 증가추세에 있다.
(2016년 진단용 방사선 방사선발생장치 관리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제11권제4호, )
2016년에서 2019년까지 4년 간 국내 의료영상 촬영 자료에 의하면 2016년에 3억 건(3.12 억 건)을 넘어 2019년엔 3.74 억 건에 이르렀는데, 이중 일반 촬영이 약 72%(2.7억 건)이고 CT 촬영의 경우엔 1,200만 건(3.2%)이었다.(질병관리청, 진단용 방사선 사용에 따른 국민 방사선량 평가 연구, 222쪽) 한편, COVID-19 발생 이후 3년간(2020-2022) 영상 촬영 건 수는 2019년에 비해 감소했다가 다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2023년의 경우에는 그 수가 무려 3억 9천만 건(398,947.394 건)을 넘었는데, 일반 촬영이 약 77%(3억 700만 건)이고 CT 촬영의 경우엔 1,600만 건(4.0%)이었다. 그러나 건 수와는 반대로, 노출 선량으로 보면 단연 CT 촬영이 전체의 67.3%로 가장 높다.(질병관리청 보도자료, 2023년 국민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 발표, 2024년 8월 26일)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평균 의료선량은 미국(2.16 mSv, 2016년)과 일본(3.9 mSv, 2011년) 등과 함께 큰 편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연도 별 국민 개인의 방사선 의료영상 선량과 1인 평균 검사 건수는 다음과 같다.
문제는 CT 촬영에 의한 진단검사를 받으며 피폭하는 방사선량이다.
의료피폭은 방사선방호의 대상은 아니나,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검사를 위하여 피폭을 많이 하게 되면 이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분명 의료목적으로 방사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건강한 삶을 위하여 질병검사, 진단, 치료를 위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사선피폭을 지나치게 우려하여 방사선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검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 또한 현명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100 mSv 이하 저선량의 방사선피폭 수준에서는 유의할 만한 건강상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이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이다.
고려해야 할 것은
1) 소아에 대한 방사선진단 검사를 할 경우 피폭량을 최소화 할 것과(의료영상촬영 품질보증지침 준수),
2) 임산부에 대한 검사를 최대한 자제하고, 신중하게 결정하며,
3) 불필요하게 반복 또는 다수 촬영을 하지 않는 것(방문 의료기관을 옮길 경우 영상자료 공유) 등이다.
검사 종류 | 유효선량 | 자연방사선량 피폭(3 mSv/년)주1) 대비 피폭기간 |
복부 | ||
전산화 단층촬영(CT)-복부/골반 | 10 mSv | 3 년 |
전산화 단층촬영(CT)-체부 | 10 mSv | 3 년 |
대장검사 | ||
정맥내 신우조영술 (IVP) | 1.6 mSv | 6 개월 |
대장조영술 | 4 mSv | 16 개월 |
상부위장관 조영술 | 2 mSv | 8 개월 |
중추신경계 | ||
전산화 단층촬영(CT)-머리(두부) | 2 mSv | 8 개월 |
전산화 단층촬영(CT)-척추 | 10 mSv | 3 개월 |
흉부 | ||
전산화 단층촬영(CT)-흉부 | 8 mSv | 2 개월 |
흉부 단순촬영 | 0.1 mSv | 12 일 |
치아 | ||
구강 엑스선촬영 | 0.005 mSv | 15 시간 |
파노라믹 엑스선촬영 | 0.025 mSv | 3 일 |
심장 | ||
칼슘 스코어 심장 전산화단층촬영 | 2 mSv | 8 개월 |
남성영상 | ||
골밀도(DEXA) | 0.001 mSv | 3 시간 |
핵의학 | ||
양전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PET/CT) | 25 mSv | 8 년 |
여성영상 | ||
골밀도(DEXA) | 0.001 mSv | 3 시간 |
유선조영촬영술 | 0.7 mSv | 3 개월 |
자궁내막조영술 | 1 mSv | 4 개월 |
유방촬영 | 0.7 mSv | 3 개월 |
출처자료 일부 수정 |
주1) 우리나라의 자연방사선 피폭선량은 약 3.08 mSv(KINS, 2009)에서 5.24 mSv(KINS, 2020)으로 조정; 이는 2009년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라돈 가스에 대해 위험도를 상향 조정한 결과를 반영하여 약 5.24 mSv로 재평가된 값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경우 평균적으로 개인이 피폭하는 자연방사선량 중 약 70%(5.24 mSv/년 중 3.62 mSv/년)는 라돈(참조:라돈과 토론)에 의한 것임.
참고
KINS, 대한민국 국민의 자연 및 인공 방사선 피폭량 조사 최종보고서(2020,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NCRP, NCRP 184: Medical Radiation Exposure of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2019
NSRA, Environmental radiation in daily life(일어, Nuclear Safety Research Association) 2011
이 자료의 최초 작성 및 등록 : 김봉환(KAERI) bhkim2@kae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