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근무자 방사선피폭

Atomi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을 하는 모든 사람이 방사선에 피폭하는 것은 아니다, 방사선구역에 들어가 작업을 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직무 수행 중에 불가피하게 방사선에 피폭된다. 그러나 불필요한 피폭을 하는 것이 아니다.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에는 격납용기 내 방사선구역에 접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피폭상황이 거의 없으며, 가동을 멈추고 정비(정기 또는 비정기)를 하는 기간에 대부분 방사선에 피폭하게 된다.
작업현장에는 국내외 관련 법규에 따라 항상 방사선 방호체계가 적용되어 작업종사자를 보호하고 있다. 가능한 방사선피폭선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방사선방호 원칙의 하나이다. 직무종사자에 대한 선량한도는 한 해 50 mSv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연속 5년간 100 mSv, 즉 평균하여 연간 20 mSv 이다. 실제 원자력발전소 종사자들의 평균 피폭선량은 일반인에 대한 연간 선량한도 1 mSv 보다 작다.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평균 피폭선량은 방사선을 사용하여 질병 진단과 치료를 하는 의료종사자의 수준과 비슷하다.(아래 표 참조 ;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최근 5년간 업종별 종사자 평균 피폭선량 현황
(2014년 말 현재, 2015년 원자력안전연감)
구 분 2010년
선량, mSv
(종사자수)
2011년
선량, mSv
(종사자수)
2012년
선량, mSv
(종사자수)
2013년
선량, mSv
(종사자수)
2014년
선량, mSv
(종사자수)
의료기관 0.99
(3,833)
0.96
(4,133)
0.87
(4,376)
0.73
(4,374)
0.55
(5,038)
산업체 0.10
(5,464)
2.39
(6,075)
0.07
(6,352)
0.16
(5,842)
0.02
(5,237)
비파괴(NDT) 2.43
(5,852)
0.03
(5,456)
3.43
(6,792)
3.87
(7,116)
2.37
(7,530)
생산판매 0.67
(1,234)
0.53
(1,573)
0.85
(1,563)
0.41
(1,702)
0.29
(1,912)
연구기관 0.07
(2,902)
0.05
(2,139)
0.03
(2,232)
0.03
(2,198)
0.02
(2,183)
교육기관 0.05
(4,876)
0.05
(4,954)
0.04
(4,814)
0.04
(4,788)
0.06
(4,521)
공공기관 0.02
(466)
0.61
(827)
0.57
(872)
0.42
(932)
0.41
(961)
군사기관 0.05
(236)
1.81
(242)
0.02
(264)
0.03
(280)
0.08
(264)
발전소(원전) 1.20
(13,236)
0.80
(14,758)
0.73
(15,023)
0.82
(14,780)
0.58
14,253)
합 계 0.96
(37,268)
0.81
(40,156)
0.96
(42,290)
1.07
(42,422)
0.72
41,899)

- 주) 합계의 종사자수는 업종별 중복 인원이 포함된 인원수 임


방사선피폭의 유형

방사선피폭은 외부피폭과 내부피폭으로 구분하며, 2009년에서 2013년의 5년간 원자력발전소 종사자들의 피폭선량의 평균을 보면 외부피폭이 95.5%, 내부피폭이 4.5%를 보였다. 내부피폭은 대부분(~99%) 중수로 원전에서 발생되는 데, 이는 원자로 특성상 감속재로 사용되는 중수의 방사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삼중수소에 의한 피폭이다. 중수로 원전에서 내부피폭으로 인한 피폭선량은 2009년에서 2013년의 5년간 총 피폭선량의 12%를 점유하며, 외부피폭은 88%였다.[1]
2016년도 우리나라 원전종사자들의 개인피폭선량 분포를 보면, 전체 종사자(14,396인) 중 약 83%가(11,944인) 1 mSv 미만이고, 평균선량은 0.79 mSv이었다. 특히 기록준위(0.1 mSv) 이하의 종사자 수는 약 65%인 9,300인이고, 이중 대다수(9,150인)가 방사선피폭을 전혀 하지 않았다. 세계 주요 국과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당 집적선량을 비교하면 우리나라가 낮은 수준이다.[2]

세계 주요 국가 원자력발전소 호기당 종사자 집적선량 비교
(단위 : man•Sv/호기, 출처 : 2017 원자력연감)
연도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독일 세계 평균
2011 0.53 0.85 0.72 1.24 1.61 0.56 0.85
2012 0.46 0.80 0.67 0.43 1.54 0.41 0.76
2013 0.53 0.72 0.79 0.56 1.44 0.54 0.73
2014 0.36 0.73 0.72 - 1.55 0.42 0.73
2015 0.36 0.72 0.68 - 1.40 0.41 0.7

- 출처 : WANO Performance Indicator Report 기준


직무종사자(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

직무와 관련하여 방사선에 피폭하는 것을 직무피폭이라 한다. 방사선방호에 일반인과 방사선작업종사자를 굳이 구분하는 이유는 의도적 피폭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 때문이다.
방사선피폭에 관하여 일반인과 직무종사자가 다를 수 없다. 비록 직무수행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방사선에 피폭하더라도 적어도 일정 수준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직업으로서 수용 가능한 위험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어야 한다. 위험한 직무라고 구분된다면 적어도 어느 수준은 확실하게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임영기, 국내 원전 종사자의 방사선량 : 2009-2013, J. Rad. Prot. and Reserch, V40, N3, 162-167(2015) [1]
  2.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7 원자력연감, 122-124(2017)



이 자료의 최초 작성 및 등록 : 김봉환(KAERI) bhkim2@kae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