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공감 클라쓰 시리즈 (동영상 강의 자료 모아보기)
"12강 신한울 3,4호기 꼭 지어야 하는 이유" | "13강 북극곰에게 원자력이 필요한 이유"
원자력 이슈 카드뉴스 (카드뉴스 모아 보기)
카드 뉴스 53편 "빌 게이츠는 왜 원자력을 지지하는가?"
원자력 안전문화 일반
개요
원자력시설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들이 어떤 형태로든 인간의 실수에서 비롯되나, 그럼에도 인간은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존재이다. 통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고장이나 사고의 20~30%가 인간의 실수에 원인이 있는 반면에, 원자력발전소가 우수한 운영실적을 보이는 것도 인간이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전문화의 동기를 제기한 체르노빌 원전사고나 최근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인간의 역할과 책임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원자력시설의 안전에 관여하는 개개인과 이들을 경영하는 조직들은 안전문화를 정착하여 인간의 실수를 방지하고 인간행위의 긍정적인 장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원자력시설의 안전을 최상의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1].
정의와 개념
원자력 안전문화(Safety Culture)란 용어는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의 원인에 대하여 국제원자력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전문가들의 논의 과정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원자력안전에 관여하는 조직과 개개인의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으로 1988년 10월 국제원자력기구가 발간한 ‘원자력발전소 기본안전 원칙’(INSAG-3)[2]에서 안전문화를 가장 우선적인 안전원칙으로 제시하면서 공식화되었으며, 1991년 2월 ‘안전문화’(INSAG-4)[3]]에서 안전문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효과적인 안전문화를 실천하기 위한 특성들을 제기하였다. 국제원자력기구에서는 원자력 안전문화를 “원자력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조직이나 개개인의 특성과 자세의 결집”(Safety culture is that assembly of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in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which establishes that, as an overriding priority, nuclear plant safety issues receive the attention warranted by their significance.)으로 정의하고 있다.
초기에는 안전문화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았으나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안전문화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원자력시설의 안전성 확보에는 안전설비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운전절차나 품질활동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원자력시설의 안전에 관여하는 조직과 개개인의 자세를 포함하는 안전문화가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본요소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참고문헌
이 자료의 최초 작성 : 김 효정(GINIS) kimhhoj@gmail.com, 등록 : 박 찬오(SNEPC) copark5379@snu.ac.kr